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움직인다”는 상식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새로운 상식이 되었다.

물고기보다 우위를 점하고 싶은 낚시인의 마음

가끔은 물고기가 되어 물고기의 움직임을 상상해보는 것도 좋을지도 모르겠다. 넓은 바다를 유유히 헤엄치고 있는 눈앞에 뭔지 맛있어 보이는 먹이가 있다. 여기가 찬스인 것처럼 덥석 물게 된다. 그런데 뭔가 이상하다. 입안에 평소와는 다른 위화감. 황급히 역방향으로 헤엄치기 시작한다. 무엇인가에 끌려간다. 물고기는 입안에 바늘이 걸린 채이다. 그렇지만 전력으로 헤엄친다.
바닥으로, 바위의 주변으로… 과연, 물고기는 통증을 느낄까 의문이다. 바늘을 삼킨 물고기가 아픔을 느낄지 어떨 지가 긴 세월 논쟁되어 온 화제이지만. 그나저나, 바늘에 걸린 물고기가 뭔지 모르는 위화감을 느끼고, 줄을 당기는 낚시인의 역방향으로 도망치는 습성이 있는 것은 틀림이 없다.
특히 갯바위낚시의 경우 물고기가 바닷속 바위의 틈에 박히면 라인이 바위에 쓸려 끊어질 가능성도 있어서, 낚시대가 눕혀져 버리면 탄력을 살려서 낚아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역시 낚시인은 항상 물고기보다 우위에 있고 싶다. 입질이 왔을 때 물고기가 당황하여 바닥으로 도망치기 전에 재빨리 낚싯대를 세워, 물고기와의 밀고 당김을 위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다. 그래도 물고기의 힘이 너무 강해 끌려갈 경우에는, 우선 라인이 끊어지지 않도록 로터를 역전시켜 줄을 내보내어 자세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원웨이 오실레이션」은 언제라도 물고기보다 우위에 있고 싶은 갯바위 팬 필수의 갯바위낚시전용 릴에 탑재한 기능이며, 고정관념을 깬 발상에서 나온 다이와의 오리지날 기능이다.

스풀이 오실레이트(왕복운동) 하는 상식

스피닝 릴은 라인을 감아 들일 때 통상, 라인이 편향되지 않도록 스풀이 상하로 움직이게 (오실레이트) 되어 있다. 이 기능이 있는 덕분에 라인을 균일하게 감아 들일 수 있다. 실은 기능적인 구조이지만 역회전 시, 즉 라인을 풀어줄 때는 오실레이트 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라인이 풀려 나가고 있는데 굳이 라인의 편향을 걱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레버브레이크를 당겨서 “역회전 프리”의 상태로 해 놓으면 물고기가 강한 힘으로 라인을 끌어 당길 때, 라인이 한번에 풀려나가기 때문이다.
그 일련의 움직임에 스풀이 상하로 움직일 필요는 전혀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레버 브레이크 릴은 정회전시도 역회전시도 스풀은 상하로 움직였다.
아마도 그것은 구조상 당연한 것이라고 누구나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면 정말 그것으로 좋은 것인가? 역회전 시에 스풀이 상하로 움직이면 라인이 나가는 ‘역회전 프리상태’는 당연히 무거워진다. 스풀이 움직이므로 진동이 발생되고, 라인을 통해서 물고기에 전달된다. 물고기는 큰 위화감을 느껴 더 날뛰게 된다. 물고기가 날뛰게 되면 강한 힘으로 끌어 당기게 되어 낚시인은 낚시대를 세우는 속도가 늦어져 유리한 자세가 좀처럼 나올 수 없다. 그 사이 물고기는 바닥으로 도망친다. 낚시대가 눕혀져 펴지면 라인은 끊어지기 쉬워지고 낚시인은 실망하게 된다. 뭐, 어쩔 수 없다. 물고기는 목숨을 걸기 때문이다.

스풀이 오실레이트 하지 않는 새로운 상식

그러나, 낚시인의 상식은 항상 진화를 추구한다. 그렇기에 다이와는 ‘어쩔 수 없다’라며 끝내지 않았다. 「어떻게 해서든지 ‘역회전 프리 상태’를 가볍게 하고 싶다.」는 생각에서 시행착오를 시작한다. 2003년 경의 일이다. 우선은 로터에 착안. 내부저항을 가볍게 하는 것을 생각했다. 그러나 로터는 90년대 후반에, 그 소재가 알루미늄에서 마그네슘으로 바뀌었고 이미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따라서 정도는 거기까지 바뀌지 않았다. 기어나 핸들의 경량화도 시험했지만 크게 변하지 않았다. 이미 소재 변경에는 한계가 있었다. 구조에 착안 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어느 날, 오실레이트를 떼어 낸다라는 어처구니 없는 발상이 탄생한다. 역회전 시 스풀을 상하로 움직이는 기어와의 연결을 없애고 로터 만을 회전시킨다고 하는 아이디어다. 어쨌든 스풀을 오실레이트 시키는 것에는 의미가 있다. 라인이 편향되어 감기지 않게 하는 필요한 기능이다.